서울에 있는 CGV 극장입니다. <br /> <br />극장에 얼마나 자주 오는지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[양지유·김규리 / 영화 관람객 : 금전적으로 부담이 많이 느껴져서 주로 헌혈해서 티켓 받아오지 않는 이상 잘 안 보게 되는 것 같아요. 아무래도 영화관보다는 OTT 서비스 쪽이 훨씬 종류도 많고….] <br /> <br />코로나19가 휩쓸고 지나간 뒤, 영화 극장에 일상회복은 아직 남의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관객 수는 절반으로 떨어졌고, 점점 회복세이긴 하지만, CGV를 비롯해 롯데시네마, 메가박스 등 영화관 '빅3'는 수년 동안 영업 손실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빠진 재무상황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CGV가 대규모 자본확충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상증자 5,700억 원에 모회사 CJ의 현물출자 4,500억 원, 합치면 1조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재무구조 안정화를 위해서라고는 하지만 당장 주가는 수일째 곤두박질쳤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영화관 사업의 미래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넷플릭스로 대표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밀려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잃어 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고정민 /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: OTT가 늘어나는 거에 따라서 극장 시장이 점점 줄어들 거는 확실하고 반면에 OTT 시장은 점점 늘어나고, 이런 현상들이 벌어지겠죠. 거기에는 대체관계와 보완관계가 동시에 일어난다(고 생각합니다.)] <br /> <br />달라진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CGV는 몰입감을 높이는 특별관과 콘서트 실황 등 다양한 체험 공간을 구축하겠단 구상을 내놨지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지는 두고 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위기를 넘기긴 했지만, 영화 관람 행태가 바뀌어 가면서 영화관 사업도 새로운 도전을 맞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양일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자막뉴스 : 정의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62611482553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